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가정양육
지원

가정양육 지원 슬기로운 육아생활 우리아이 마음 이야기

우리아이 마음 이야기

(부산)노래야 나오너라 상세보기의 제목, 등록일, 작성자, 조회, 첨부파일, 내용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발달이 느린 아이 어떻게 도울까? 2023-11-09
작성자 부산센터 조회 95
공유하기
(새창)네이버공유하기
(새창)페이스북공유하기 (새창)트위터공유하기

 

발달이 느린 아이 어떻게 도울까?

 

 

사하구 가족센터 센터장 양수민

 

 

코로나 상황을 겪으면서 경제 성장률이 낮아진다고 걱정들이다.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기초학력이 떨어진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사실 그것보다 더 큰 일이 바로 영유아기 아이들의 발달지연현상이다.

영유아기는 세상에 눈뜨기 시작하는 때이고, 서로 만나 뛰어 놀면서, 많은 것을 경험하고 배워나가는 시기이다. 지난 몇 년간 사회적 상황이 그렇지 못하다보니 아이들이 집안에만 있게 되고, 또 만나는 사람도 한정적이다.

다양한 이유로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런 현상을 발달지연이라고 한다.

영유아기의 발달지연은 이후 모든 발달단계에서 심각한 발달지체로 이어질 수 있다.

그래서 영유아기의 아이들이 제대로 성장하는지 살피고 적절한 도움을 주는 것이 꼭 필요하다.

 

우리가 눈으로 본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눈이 보는 게 아니다. 눈은 빛을 수집하는 곳이고 이걸 뇌가 해석해 주는 것이니 엄밀히 말하면 이 본다기보다는 가 본다는 말이 맞다. 발달이 느린 아이는 뇌에서

정보전달과 처리가 더디기 때문에 감각기관들을 통해 자극을 많이 주어 뇌가 연습하게 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일종의 재활과 같은 의미이다. 뇌를 다쳐도 팔다리를 열심히 움직이면 뇌의 다친 부분이

어느 정도 다시 기능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꾸준히 연습하다보면 뇌의 다른 부위가 눈과 다리로

들어오는 신호를 대신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집에서 부모들도 같은 원리를 적용 해 도울 있다.

아빠와 몸으로 놀고, 다양한 놀잇감으로 자극을 풍부하게 해 주면 아이의 뇌가 쉴 틈이 없을 것이다.

신발을 직접 신어보게 하여 손가락을 움직여볼 수도 있고, 숟가락을 들고 혼자 밥을 먹으며 밥그릇과

입의 위치도 가늠해 볼 수 있다. 평균대를 걸으며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해 다른 곳에 힘을 주고 빼는 연습을 통해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

 

영유아기는 변화가능성이 무한한 시기이며, 조금의 도움이 큰 변화를 이끌 수 있다.

옛날 같으면 걱정거리도 되지 않았던 문제들이, 지금은 아는 것이 너무 많아 문제가 되는 세상이다.

가만히 두어도 대부분의 아이는 잘 자라겠지만, 그 과정에서 아이가 느끼는 좌절감을 줄여주자는

의미에서 오늘의 이야기를 드린다.

 

 

  

사하구 가족센터

센터장 양수민

-동아대학교 교육학(교육심리) 박사 졸업

-미술심리치료사

-)사하구 가족센터 센터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사

-)부산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사

-부산광역시육아종합지원센터 육아플래너

 

부산광역시육아종합지원센터>슬기로운 육아생활의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